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261 lines (170 loc) · 7.59 KB

README.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261 lines (170 loc) · 7.59 KB

iOS

단축키

  • control + I: 자동으로 줄맞추기
  • command + shift + y: 콘솔 업다운

import Foundation?

  • Objective-C 언어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한다.
  • 컬렉션 NSArray, NSMutableArray, NSDictionary, NSSet 등을 제공한다.
  • 데이터나 날짜 관련 NSData, NSDate 등을 제공한다.
  • 외울 필요는 없음!

상속관계에서 생성자 위임 규칙

  1. 델리게이트 업(Delegate Up)

    서브 클래스의 지정 생성자는 슈퍼 클래스의 지정생성자를 반드시 호출해야한다.


  1. 델리게이트 어크로스(Delegate across)

    편의 생성자는 동일한 클래스에서 다른 편의 생성자 또는 지정 생성자를 호출해야하고 궁극적으로는 지정 생성자를 호출해야한다.


프로토콜 지향 프로그래밍

애플이 최초로 프로토콜 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클래스와 상속의 단점

  • 하나의 클래스만 상속이 가능하다.
  • 하위클래스는 상위클래스의 메모리 구조를 따라갈 수 밖에 없다.
  • 클래스에서만 가능하다.

하지만 프로토콜 지향 프로그래밍일 경우?

  • 여러개의 프로토콜 채택이 가능하다. → 조합의 장점을 살려서 구성/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 메모리 구조에 대한 특정 요구사항이 없다. → 필요한 속성/메서드만 채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 모든 타입에서 채택이 가능하다. → 활용성이 늘어난다.

Method Dispatch

스위프트가 함수를 실행시키는 방법은 다음 세 가지가 있다.

  1. Direct Dispatch

    컴파일 시점에 코드 자체에 함수의 메모리 주소 삽입 또는 함수의 명령 코드를 해당 위치에 코드를 심는방식이다. 세 방식중에 가장 빠르지만 value type인 구조체와 열거형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상속과 다형성의 장점을 누릴 수 없다.


  1. Table Dispatch

    함수의 포인터를 배열에 보관 후 실행하는 방식이다. 세 방식중에 두번째로 빠르며 클래스와 프로토콜에서 사용한다. 클래스는 Virtual Table, 프로토콜은 Witenss Table을 사용한다.


  1. Message Dispatch

    상속구조를 모두 훑은 후에 실행할 메서드를 경정하는 방식이다. 세 방식중에 가장 느리며 주로 Objective-C 클래스에서 사용한다.


ARC: Automatic Reference Counting

ARC는 스위프트의 메모리 관리 모델이다. Automatic Reference Counting의 줄임말로, 자동으로 메모리 참조의 숫자를 센다. 만약 수동으로 메모리를 관리해야 한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코드를 짜야한다.

class Point {
	var refCount: Int           // 참조 숫자를 세주는 변수
	var x, y: Double
	func draw() { ... }
}

let point1 = Point(x: 0, y: 0) // +1, refCount = 1
let point2 = point1 
retain(point2)                 // +1, refCount = 2

point2.x = 5

release(point1)                // -1, refCount = 1
release(point2)                // -1, refCount = 0 -> 메모리 할당 해제

retain() → Reference Counting의 숫자를 하나 올린다.

release() → Reference Counting의 숫자를 하나 내린다.

따라서, Referece Counting이 0이 되는 순간 메모리할당을 해제 한다. 스위프트에 ARC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retain, release를 신경 안써도 컴파일할 때 자동으로 수행한다.


강한 참조 사이클

강한 참조 사이클은 객체 두 개가 서로를 참조하고 있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메모리 해제가 안되고 해제 시킬 방법도 없는 현상이다.

class Dog {
	var name: String
	var owner: Person?

	init(name: String) {
		self.name = name
	}

	deinit { // 소멸자
		print("\(name) 메모리 해제")
	}
}

class Person {
	var name: String
	var pet: Dog?
	
	init(name: String) {
		self.name = name
	}

	deinit {
		print("\(name) 메모리 해제")
	}
}

var bori: Dog? = Dog(name: "보리")
var gildong: Person? = Person(name: "홍길동")

bori?.owner = gildong
gildon?.pet = bori
// --> 강한 참조 사이클 발생

bori = nil    // 메모리 해제 불가
gildong = nil // 메모리 해제 불가

위 코드를 보면 “보리”의 주인은 “길동”이고 “길동”의 애완동물은 “보리”이기 때문에, 두 객체가 서로를 참조하고 있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한다.


메모리 누수의 해결방안 2가지

메모리 누수의 해결방안 2가지를 사용하면 공통적으로 Referece Counting 올라가지 않는다.

  1. 약한 참조(Weak Reference)

    단순히 앞에 weak 키워드를 사용하면 된다.

    class Dog {
    	var name: String
    	weak var owner: Person?
    
    	init(name: String) {
    		self.name = name
    	}
    
    	deinit { // 소멸자
    		print("\(name) 메모리 해제")
    	}
    }
    
    class Person {
    	var name: String
    	weak var pet: Dog?
    	
    	init(name: String) {
    		self.name = name
    	}
    
    	deinit {
    		print("\(name) 메모리 해제")
    	}
    }
    
    var bori: Dog? = Dog(name: "보리")
    var gildong: Person? = Person(name: "홍길동")
    
    // 강한 참조 사이클 발생하지 않음
    bori?.owner = gildong
    gildon?.pet = bori
    
    bori = nil    // print("보리 메모리 해제")
    gildong = nil // print("홍길동 메모리 해제")

    약한 참조의 경우, 참조하고 있던 인스턴스가 사라지면, nil로 초기화가 되어있다. nil을 할당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weak let이나 Non-Optional 선언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유자에 비해 짧은 생명주기를 가진 인스턴스를 참조할때 주로 사용한다.


  1. 비소유 참조(Unowned Referece)

    약한 참조와 똑같이 앞에 unowned 키워드를 붙인다.

    class Dog {
    	var name: String
    	unowned var owner: Person?
    
    	init(name: String) {
    		self.name = name
    	}
    
    	deinit { // 소멸자
    		print("\(name) 메모리 해제")
    	}
    }
    
    class Person {
    	var name: String
    	unowned var pet: Dog?
    	
    	init(name: String) {
    		self.name = name
    	}
    
    	deinit {
    		print("\(name) 메모리 해제")
    	}
    }
    
    var bori: Dog? = Dog(name: "보리")
    var gildong: Person? = Person(name: "홍길동")
    
    // 강한 참조 사이클 발생하지 않음
    bori?.owner = gildong
    gildon?.pet = bori
    
    bori = nil    // print("보리 메모리 해제")
    gildong = nil // print("홍길동 메모리 해제")

    약한 참조와 다르게 비소유 참조는 참조하고 있던 인스턴스가 사라지면, nil로 초기화 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유자 보다 인스턴스의 생명주기가 더 길거나,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

    위 예제들을 봤듯이, unowned 사용시에는 한번 더 고려할 것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weak 키워드를 사용하는 약한 참조를 프로젝트에서 더 많이 사용한다.


생명주기(Life Cycle)

  • viewDidLoad - 스토리보드상의 뷰들과의 연결이 끝난 시점
  • viewWillAppear - 실제 스크린에 뷰가 나타나기 전에 호출
  • viewDidAppear - 실제 스크린에 뷰가 나타난 후에 호출
  • viewWillDisappear - 실제 스크린에 뷰가 사라지기 전에 호출
  • viewDidDisappear - 실제 스크린에 뷰가 사라진 후에 호출